Clik here to view.

세계인들은 말합니다. 로마는 발 닿는 곳이 박물관이라고. 600년 도읍지 서울도 그에 못지않습니다. 후손들이 못나서 지키지 못하고 가꾸지 못해서 그렇지 서울은 곳곳이 문화유적지입니다.
유홍준 교수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를 발표하여 돌풍을 일으켰습니다. 유 교수는 최근에 발굴된 유적을 가지고 얘기한 것이 아닙니다. 독자들이 초등학교 때 소풍 가서 보거나 중· 고등학교 때 수학여행 가서 본 유적지를 유 교수 특유의 시선으로 봤기 때문에 독자들이 충격을 받은 것입니다. 그 후, 문화유적 답사 광풍이 불었습니다. 이제 보이는 유적지도 좋지만 보이지 않은 유적지를 찾아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됩니다.
우리의 국토가 두 동강이 나기 전, 조선시대는 서울에서 부산까지 경부 축이 아니라 한양에서 의주까지의 '의주대로'가 국토의 대동맥이었습니다. 고관대작들의 수레와 가마가 그칠 날이 없었으니 얼마나 번다했겠습니까? 오죽하면 경교장 근처에 살고 있던 이숙번이 수레 소리에 잠을 이루지 못한다고 태클을 걸어 돈의문을 서전문으로 옮겼겠습니까. 말 그대로 조선 1번지였습니다.
조선시대의 '로데오거리'는 서대문 사거리
Clik here to view.

일제가 우리나라를 침탈한 후 철저히 파괴한 곳이 경복궁과 서대문 사거리입니다. 왕권의 상징 경복궁을 파괴한 것은 민족혼을 말살하기 위한 것이었고 서대문 사거리를 파괴한 것은 조선이 떠받드는 중국과 연결된 흔적을 지우기 위해서였습니다. 도성 사대문 중 하나인 돈의문도 사라졌습니다. 전찻길을 낸다는 명분이었지만 동대문과 숭례문은 우회했습니다. 적십자병원 자리에 있던 경기감영도 없어졌습니다. 그 앞 만초천에 걸쳐있던 홍예가 아름다운 경교(京橋)와 반송정, 서지, 모화관도 흔적이 없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서대문 사거리를 '고마동'이라고 불렀습니다. 오늘날로 해석하면 인천공항, 고속버스터미널, 여행사, 렌터카 업체, 택시회사를 모아놓은 종합교통타운 같은 곳입니다. 교통이 편리하니까 사람이 모이고, 사람 모이는 곳에 물화와 돈이 흘렀습니다. 때문에 서대문 4거리는 최첨단 유행을 걷는 '조선의 로데오거리'였습니다.
조선은 교통과 통신을 위하여 역참로를 촘촘히 짰습니다. 병조가 운영하는 역참로의 출발지가 바로 고마동에 있었습니다. 관서지방으로 떠나는 사람은 고마동에서 출발하여 연서역을 지나 개성방면으로 떠났고 삼남지방으로 떠나는 사람은 청파역에서, 금강산과 함흥으로 떠나는 사람은 누원역에서 출발했습니다.
Clik here to view.

서대문 사거리는 한양에서 대륙으로 가는 길의 들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