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22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놓치지 말아야할 영화 세 편

제22회 부산 국제영화제가 10월 12일부터 21일까지 열린다. 올해 상영 편수는 총 75개국 298편으로 예년과 비슷하다. 10일간 열리는 영화제 개막작과 폐막작 모두 여성 감독이다. 이것이 영화팬들의 관심을 자극한다.

 

개막작 신수원 감독의 <유리정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다리에 장애를 가진 여자가 있다. 그녀는 식물을 닮았다. 아니, 닮으려 한다. 하지만 세상은 그녀를 조용히 내버려 두지 않는다. 여자는 버림받고 상처를 입은 채 자기만의 공간으로 숨어 들어간다. 자기와 닮은 나무들의 세상 숲으로 말이다. 여자는 눈에 띄지 않으려 조심하며 묵묵히 자기 일에만 전념한다.


<유리정원>은 한 여인의 사랑과 아픔을 환상과 현실 사이에서 신수원 감독만의 독특한 스타일로 보여주는 영화다. 동물적 욕망과 질서로 가득 찬 세상에서 식물로 살아야 하는 여자의 가슴 아픈 복수극이기도 하다.

 

오랜만에 스크린에 복귀한 문근영이 식물을 닮은 여인, 재연을 연기한다. 재연은 생명공학 연구소에서 일하며 연구소의 교수와 사랑하는 사이다. 그녀는 아버지의 벌목으로 저주를 받아 다리에 장애가 생겼다고 믿는다. 재연은 나무에 영혼이 있다고 생각하며 식물의 세포를 통해 인간 생명을 연장할 수 있는 실험에 몰두한다.


실험은 더디게 진행되고 재연의 행복은 오래가지 못한다. 교수는 연구소에서 새로운 애인을 만들고 재연은 버림받는다. 교수와 그의 새 애인은 재연의 연구 성과마저 가로챈다. 한편 홀로 사는 재연을 멀리서 지켜보는 무명 소설가가 있다. 그는 선배 작가에게 표절 시비를 걸었다가 문단에서 매장을 당한 상황. 재연에게 호기심을 느낀 소설가는 재연이 숨은 숲속 공간까지 찾아가 그녀의 이야기를 소설로 쓸 욕심을 낸다. 그리고 상상 못 한 충격적인 사실을 발견한다.

 

2010년 첫 장편 <레인보우>가 국제적 주목을 받았고, 2012년 단편 <순환선>으로 칸영화제 비평가 주간 카날플뤼상을 받았다. 두 번째 장편 <명왕성>(2013)은 부산국제영화제를 거쳐 베를린영화제 제너레이션에 초청, 특별 언급됐다. 세 번째 장편 <마돈나>(2015)는 칸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에 선정됐다.


폐막작은 실비아 창의 <상애상친>(Love Education)

 

100편이 넘는 작품에 출연한 실비아 창은 아시아 유수의 영화제에서 수차례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1980년대에 감독으로 데뷔, 2004년 베를린영화제 황금곰상 후보에 오른 <20 30 40>(2004), 2015년 홍콩국제영화제의 개막작인 <마음의 속삭임>(2015) 등 10편이 넘는 작품을 연출했다. 각계각층의 여성을 흥미롭게 묘사해 작품성을 인정받았으며 현재도 꾸준히 활동 중이다.

 

권경원 감독의 <국가에 대한 예의>(Courtesy to the Na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22

Trending Articles